
로컬에서 라이센스, ip등 로컬 개발환경을 설정한 후에 다른 branch로 checkout 하거나 origin에서 브랜치를 새로 checkout 할때 가끔 충돌이 난다. 😶 그럴때마다 로컬개발환경 파일을 모두 폐기하고 다시 재설정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. 그럴때 Stash 하면 편리하게 바로 세팅할수있다. Stash 는 커밋하지 않은 파일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이다. - 소스트리 메뉴에서 스태시를 클릭한다 - Stash 제목을 '로컬개발환경설정'이라고 하겠다 - 저장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표시가 된다. 우클릭을해서 '스태시 적용'을 누르면 다시 로컬환경에 반영(unstage 파일로 뜸) 되는 것을 볼수있다. 이렇게 사용하라고 있는 기능은 아닐수도 있겠지만....요즘 아주 애용하고 있다😉
org.codehaus.cargo.container.tomcat.internal.TomcatManagerException: The Tomcat Manager responded "FAIL - Context [/admin] is defined in server.xml and may not be undeployed " instead of the expected "OK" message at org.codehaus.cargo.container.tomcat.internal.TomcatManager.invoke(TomcatManager.java:715) at org.codehaus.cargo.container.tomcat.internal.TomcatManager.invoke(TomcatManager.java:501)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c#
- 개발중캐시삭제
- 캐시삭제
- C# java 차이점
- script버전
- 퇴사
- 백준퇴사
- 프론트엔드
- C++
- 백준14501
- 프론트엔드개발자
- 선언적트랜잭션 #noRollbackFor #@Transactional
- 런타임에러
- html
- html꿀팁
- 백준
- boj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