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반응형

로컬에서  라이센스, ip등 로컬 개발환경을 설정한 후에 다른 branch로 checkout 하거나 origin에서 브랜치를 새로 checkout 할때 가끔 충돌이 난다. 😶

그럴때마다 로컬개발환경 파일을 모두 폐기하고 다시 재설정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. 

 

그럴때 Stash 하면 편리하게 바로 세팅할수있다. 

Stash 는 커밋하지 않은 파일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이다.

- 소스트리 메뉴에서 스태시를 클릭한다 

- Stash 제목을 '로컬개발환경설정'이라고 하겠다

- 저장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표시가 된다.

우클릭을해서 '스태시 적용'을 누르면 다시 로컬환경에 반영(unstage 파일로 뜸) 되는 것을 볼수있다.

 

이렇게 사용하라고 있는 기능은 아닐수도 있겠지만....요즘 아주 애용하고 있다😉

반응형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