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반응형
Stream의 forEach는 요소를 돌면서 실행되는 stream 연산의 최종 작업이다. 보통 System.out.println 메소드를 넘겨서 결과를 출력할 때 사용한다.
종료 조건이 있는 로직을 구현할 때 주의해야 한다. Stream 자체를 강제적으로 종료시키는 방법은 없다. 무언가 강제적인 종료 조건에 대한 로직이 있는 for-loop를 stream.forEach()로 구현한다면, 기존 for-loop에 비해 비효율이 발생한다.
스트림 병렬화에 대한 공식 문서의 Side-effects 항목을 참고하면, forEach 내부에 로직이 하나라도 더 추가된다면 동시성 보장이 어려워지고 가독성이 떨어질 위험이 있다. 또한 Stream의 의도를 벗어나게 된다. 본래 forEach는 스트림의 종료를 위한 연산이다. 로직을 수행하는 역할은 Stream을 반환하는 중간연산이 해야하는 일이다.
그래...가독성 좋은 것 같아서 stream foreach 쓴 사람? 나야나....나야나🙋🏻♀️ 반성합니다...다음에 박싱/언박싱, 익명클래스도 정리해보자..
참고 블로그
: https://woowacourse.github.io/javable/post/2020-05-14-foreach-vs-forloop/
반응형
'Language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람다식 안에서 지역변수 사용하기 (0) | 2021.06.22 |
---|---|
컬렉션(Collection) sorted() (0) | 2021.05.26 |
자바 컬렉션/Java Collection (List, Set, Queue, Map) (0) | 2021.05.25 |
[OCPJP]Java SE 8 Programmer II Certification Exam | 1Z0-809 덤프/DUMP 문제#81~93 (0) | 2021.03.01 |
[OCPJP]Java SE 8 Programmer II Certification Exam | 1Z0-809 덤프/DUMP 문제#61~80 (0) | 2021.03.01 |
반응형